- Log4j2 는 다음과 같은 로그 레벨을 가진다.
- TRACE > DEBUG > INFO > WARN > ERROR > FATAL
- INFO로 셋팅하면, INFO, WARN, ERROR, FATAL은 기록된다.
FATAL : 아주 심각한 에러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다.
ERROR : 어떠한 요청을 처리하는 중 문제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다.
WARN : 프로그램의 실행에는 문제가 없지만, 향후 시스템 에러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경고성 메시지를
나타낸다.
INFO : 어떠한 상태 변경과 같은 정보성 메시지를 나타낸다.
DEBUG : 개발시 디버그 용도로 사용하는 메시지를 나타낸다.
TRACE : 디버그 레벨이 너무 광범위한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좀 더 상세한 이벤트를 나타낸다.
'Spring > Spring 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son으로 오브젝트의 배열 deserialize하기 (0) | 2021.01.14 |
---|---|
생성자 주입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, 필드인젝션의 단점 (0) | 2020.10.15 |
Ldap 설치하고 Springboot와 연동하기 (0) | 2020.02.18 |
@JsonPropertyOrder({"name", "id"})를 사용하면 성능이 느려질까? 난 아직 모름.. (0) | 2020.02.04 |
deserialize와 serialize시에 사용할 VO의 필드를 각각 다르게 정해서 사용하기위한 애너테이션 (0) | 2020.02.04 |
댓글